금운정(錦雲亭) & 유위재 금운정(錦雲亭) 유위재(有蔚齋) 대청을 유위재(有蔚齋) 오른쪽 방은 육영실(育英室) 왼쪽 방은 양로실(養老室)로 명명한 현판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의성김씨 운암종택 & 운암정 의성김씨 운암종택(雲岩宗宅) 청계 김진 선생의 셋째 아들 운암 김명일(1534∼1570)의 종가집이다. 건물에 적힌 기록에 따르면 조선 영조 30년(1754)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채, 사랑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가 서로 붙어 있는 형식이다. 안채는 앞면 6칸·옆면 6칸 크기에..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만송헌 만송헌(萬松軒) 이 집은 의성김씨 내앞 입향조인 김진의 6세손 종사랑 세장의 종택으로 1800년대에 건축된걸로 추정되며 1968년 중건하였다. 서운고당(瑞雲古堂) 현판 서천(瑞泉)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운곡서당 운곡서당(雲谷書堂) 금옹 김학배(1628∼1673)와 적암 김태중(1649∼171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고자 세운 서당이다. 김학배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현종 4년(1663)과거에 급제하고 예조좌랑을 지냈으며, 학문과 후학양성에도 정성을 다하였다, 김태중은 김학배의 제자로 오로지..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치헌 치헌(恥軒) 국탄 김시정의 셋째 아들 김영운이 정조 9년(1785)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집의 이름은 김영운의 호를 따라 치헌이라 부른다. 원래는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물에 잠겨 1988년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었다. 건물은 二자형으로 앞면 4칸·옆면 1칸의 규모의 ..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백하구려(白下舊廬) 백하구려(白下舊廬) 백하(白下) 김대락(金大洛) 선생의 고택이다. ‘白下’란 뜻은 장백산 밑에 사는 한인이라는 뜻으로, 이는 선생이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펼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선생이 망명하기 전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할 때 선생은 민중을 위하여 계..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제산종택(霽山宗宅) 제산종택(霽山宗宅) 이 가옥은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 선생의 종택으로서 가옥의 건립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선생과 선생의 자제인 구사당(九思堂) 공이 기거하였으며 본채의 옆에는 선생의 정자인 「가헌(可軒)」이 있는데 가헌은 제산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고 강학하기 위..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귀봉종택(龜峰宗宅) 귀봉종택(龜峰宗宅) 이 집은 청계공의 둘째 아들인 귀봉 김수일선생의 종택이다. 건축연대는 조선 현종 1년(1660)으로 선생이 분가하면서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종 25년(1888)에는 선생의 12세손인 김주병 공이 중수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이 집에는 귀봉선생의 자제인 운천 김용선..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의성김씨 종택 내앞마을(川前村) 의성김씨 종택 의성 김씨 청계 김진(1500~1580)의 종가로 임진왜란 당시 불타 없어진 것을 김진의 아들인 김성일(1538∼1593)이 재건하였다. 전체적인 집의 배치는 巳자형으로 ㅁ자형 안채와 一자형 사랑채가 행랑채와 기타 부속채로 연결되는데, 행랑채에서 안뜰로 통하는 .. 웅부안동(雄府安東)/임하면 2013.04.24
계명산 자연휴양림 계명산 자연휴양림 길안면 소재지에서 11km 떨어진 고란리에 위치한 계명산 자연휴양림은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천연 소나무 및 참나무림과 통나무 집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 한폭의 동양화 같은 곳으로 휴양객들의 심신단련과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이곳은 숲속의 집을 비롯하여 산.. 웅부안동(雄府安東)/길안면 2013.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