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포항시 북구 용흥동 탑산에 위치한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1층 전시실 학도의용군 포항여중 전투 6.25전쟁 당시 한국군 제3사단 후방지휘소였던 포항여중에서 경계근무중이던 학도의용군 중대 71명은 1950년 8월 11일 새벽 북한군의 기습공격을 받았다. 초전에는 적..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포항시 2012.05.17
포항함 포항함(초계함) 포항함은 2010년 3월 26일 서해 백령도 앞바다에서 북한의 잠수정 공격으로 침몰한 천안함과 동일한 제원의 함정으로 약25년간 조국 영해 수호의 임무를 완수하고 명예롭게 퇴역한 우리 해군의 주력 1,200톤급 초계함이다. 취역일: 1984. 12.18/퇴역일:2009. 6. 30 퇴역후 포항시 남..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포항시 2012.05.17
황악산 직지사(3) 황악루(黃嶽樓) 비로전으로 출입하는 문루로 2층 누각이다. 대웅전 앞에 있었으나 주지 녹원화상이 1980년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고 한다. 황악루 2층의 동종 직지사 삼층석탑(보물 제1186호) 통일신라 말기으 석탑으로 구미시 선산읍 원동 낙동강변 강락사라는 절터에 무너져 방치되어 있던..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김천시 2012.05.04
황악산 직지사(2) 사명각(四溟閣) 사명각은 임진왜란 당시 나라를 구한 호국대성(護國大聖) 유정(惟政:1544~1610) 사명대사(四溟大師)의 영정(影幀)을 봉안하여 대사의 유덕(遺德)을 기리는 건물로 조선 정조 11년(1787)에 창건되었다. 대사의 속성은 임(任)씨 자(字)는 이환(離幻)이며, 법명은 유정(惟政) 법호는 ..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김천시 2012.05.04
황악산 직지사(1) 황악산 직지사(直指寺)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운수리 216) 소재 소백산맥(小白山脈)의 준령(竣嶺)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그 서쪽 추풍령(秋風嶺)에서 잠시 머물러 관문(關門)을 이루었고, 다시 서남쪽으로 웅장(雄壯)한 산세(山勢)를 유지하며 달려와 힘차게 솟아오른 황악..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김천시 2012.05.04
황악산 직지문화공원 직지사 앞 주차장 주변의 상가들... 쉬어가소! 자고가이소! 모텔도 있고... 나이트클럽에 즐비한 식당들, 고기구이 냄새가 진동한다... 주차장에서 직지사로 오르는 길 주변, 아낙네들의 노점상이 즐비하다... 직지문화공원 갓모양의 건물,화장실이다... 야외공연장... 한반도 모양으로 다듬..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김천시 2012.05.04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壬亂北川戰跡地) 상주 임란북천전적지 상주시 만산동 산73-1 소재 / 경북기념물 제 77호 이곳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중앙군이 왜군의 주력부대와 싸운 공식적인 우리나라 최초의 격전지로 900여명이 분연히 순국한 호국성지이다. 1592년 4월 13일 왜군이 부산에 상륙하자 이를 막기 위해 급파된 조선 중앙군..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상주시 2012.05.02
이강년 생가 이강년 생가 이 곳은 한말의 의병장 운강 이강년(1858∼1908) 선생이 태어나 성장한 곳이다. 선생은 경상북도 문경 출신으로 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1896년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1907년 조선의 군대가 해산되자 영춘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켰다. 그는 주로 강원도..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문경시 2012.05.02
용추계곡 문경 용추계곡 문경시 가은읍은 충북 괴산군과 경계지점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곳에 문경의 명산으로 꼽히는 대야산이 있다. 해발 930m의 높은 산으로 백두대간의 한 줄기인 산이다. 산림청 선정 한국의 100대 명산에도 이름을 올린 이 산은 위태롭게 서 있는 암봉과 두드러진 기암이 눈길..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문경시 201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