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곡서원(明谷書院) 명곡서원(明谷書院) 의성군 가음면 명곡서원길 12(양지리447-1)소재 이 서원은 금은 박성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818년(순조18) 지방 유림의 공의로 건립되었으며, 1851년(철종2)에 확장하여 서원으로서 면모를 갖추고 선현배양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으나 1868년 대원군..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의성군 2013.04.01
태백 구문소 & 자개루 구문소(求門沼) * 천연기념물 제417호 * 태백 황지천 구문소는 영남의 젖줄 낙동강의 발원지인 황지를 중심으로 한 태백고원의 태백시가지를 북쪽 함백산(1573m), 서쪽 태백산(1567m), 동쪽 연화산(1171m)과 남쪽 구문소 부근에서 도강능선(渡江稜線 580m)이 이어져 있다. 그래서 태백시는 세계에.. 전국여행 * 문화탐방/강원도 2013.03.27
봉화 충효당 & 구애정 충효당(忠孝堂) 선조25년 임진왜란 시 19세의 어린 나이에 전장으로 달려가 문경진중에서 왜적과 혈전 끝에 1592년 6월 10일 장렬히 전사한 이장발(1574~1592)의 우국충절의 뜻을 기리고자 그 후손과 유림이 1750년 경에 건립하였다. 충효비각(忠孝碑閣) 충효당화산이공유허비(忠孝堂花山李公遺..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봉화군 2013.03.24
송월재종택 & 한산군종택(영모당,사덕정) 송월재종택(松月齋宗宅) 송월재 종택이 처음 건립된 연대는 380여 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송월재 이시선公은 명청(법전면 풍정리)에 살림집을 짓고 서재를 만들어 학문을 연구하였으며, 종택은 약 280여년 내려오다가 그 후손들이 100여년 전에 지금의 법전면 법전리 음지마을로 종택을 ..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봉화군 2013.03.24
경체정 & 기헌고택 경체정(景棣亭) 법전강씨(法田姜氏)의 강윤(姜潤)·강완(姜浣)·강한(姜瀚) 3형제를 추모하기 위해 강윤의 증손자인 유하(柳下) 강태중(姜泰重, 1778∼1862)이 강씨들이 대대로 살아온 마을 한쪽에 1858년 건립한 정자이다. 강윤(1711∼1782)의 자는 덕이(德以), 호는 법천(法川)이다. 증 이조..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봉화군 2013.03.23
종북자, 그대에게 묻는다.. 종북자, 그대에게 묻는다.. 그대 태어난 곳 어디인가. 아름다이 금수강산 이 땅 아니던가? 그대 살고 있는 곳 어디인가. 부모형제 조상님들 대대로 살던 이 땅 아니던가? 그대 국적어디인가? 코리아 대한민국 아니던가? 사람치급 못 받고 굶주림이 싫어 탈북한 자 어찌 배신자며 변절자인.. 자작 글 2013.03.22
키리졸브 한*미군사훈련 키리졸브 한*미군사훈련 바다의 요새 항공모함 핵폭격이 가능한 B-52 전략폭격기 6,900톤의 핵잠수함 "샤이엔" 우리는 아름다운 금수강산과 국민의 생명을 북한의 무력도발로 부터 지켜야 한다. 그러나 이 땅에 6.25와 같은 전쟁이 또 발발하여 위와 같은 엄청난 군사무기들이 사용되는 일이.. 근대사 & 안보 2013.03.22
해은구택 & 법계서실 해은구택(海隱舊宅) 해은구택은 1750년(영조 25)경에 지은 집으로 해은 강필효(1764~1848)의 호를 따서 해은구택이라고 한다. 강필효의 본관은 진주. 초명은 강세환, 자는 중순, 호는 해은·법은. 아버지는 강식, 어머니는 진성이씨 이중연의 딸이다. 그는 안동부에서 태어나 윤증의 제자인 강..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봉화군 2013.03.21
법전강씨 종택 & 이오당 법전강씨 종택 조선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억울하게 끝나자 도은 강각(姜恪)이 형인 잠은 강흡(姜洽)과 함께 법전 양촌에 은거하며 절개를 지키던 곳으로 일명 ‘도은구택’이라고도 한다. 1798년에 수리하였고, 60여 년 전에 다시 고쳤다. 사랑채와 안채가 튼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봉화군 2013.03.21
창애정 & 창랑정사 창애정(倉厓亭) 창애정은 창애 이중광(1709∼1778) 선생이 지은 정자이다. 이중광 선생은 영조 18년(1742)에 추천을 받아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이곳에서 사람들과 학문을 토론하고 연구에 전념하면서 후배를 양성하였다. 창애정은 앞면 4칸·옆면 3칸 규모이며 ㄱ자형 평면을 ..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봉화군 2013.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