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청도군

호거산 운문사(雲門寺)

자즐보 2014. 3. 2. 12:46

 

 

 

운문사(雲門寺)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560년(신라 진흥왕 21)에 신승이 창건하고, 608년(진평왕 30)

원광법사가 이곳에 머물면서 크게 중창했다고 한다.

 

 사적기(寺蹟記)에 따르면 고려 937년(태조 20) 중국 당나라에서

법을 전수받고 돌아온 보양국사가 까치떼의 도움으로 이 절을 짓고

작갑사(鵲岬寺)라 했으나, 943년 삼국을 통일한 태조 왕건이

보양국사가 절을 세웠다는 말을 듣고 많은 전답과 함께

'운문선사'(雲門禪寺)라고 사액한 뒤부터 운문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105년(숙종 10)에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중창한 이후로

많은 고승들이 배출되었으며, 조선시대인 1690년(숙종 16) 설송이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중건하여 어느 정도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 이 절에는 조계종 운문승가대학이 설치되어 많은 비구니들의

교육과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경내에는

우리나라 사찰 중 가장 규모가 큰 만세루를 비롯하여

대웅보전(보물 제835호)·미륵전·작압전(鵲鴨殿)·

금당·강당·관음전·명부전·오백나한전 등

조선시대의 많은 건물들이 남아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금당앞 석등(보물 제193호)·동호(보물 제208호)·

원응국사비(보물 제316호)·석조여래좌상(보물 제317호)·

사천왕 석주(보물 제318호)·3층석탑(보물 제678호) 등이 있다.

 

 

운문사 입구 매표소

성인 입장료 2,000냥, 주차비 2,000냥을 줘야 통과할 수 있다.

 

 

 

솔 바람길

무더운 여름날엔 솔향기 가득 시원스레 불어 오겠다.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태사 김식희 대장군 숭모비

三韓壁上功臣 三重大匡太師 金式希 大將軍 崇慕碑

김식희는 본관이 강릉, 신라말~고려초 사람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선봉장으로 많은 공훈을 세운 문무를 겸비한 장군이었다.

 

 

 

광리군 삼중대광사도 손긍훈 대장군 숭모비

廣理君 三重大匡司徒 孫兢訓 大將軍 崇慕碑

고려 태조와 함께 후삼국을 통일하는 데 공을 세워

보국숭록대부(輔國崇錄大夫)에 오르고 광리군에 봉해졌다.

 

김식희, 손긍훈 장군은 죽은 후에도 운문사의 수호신이

되겠다는 유언에 따라 현재까지 운문사 조영당에 모시고 있다.

 

 

 

 

 

화랑오계비(花郞五戒碑)

 

 

 

운문사 경내 입구

예서부턴 발품을 팔아야 한다.

 

 

 

운문사 안내도

 

 

 

 

 

호거산 운문사 범종루

 

 

2층 루에는 법고, 범종, 목어, 운판이 비치되어 있다. 

 

 

 

법고(法鼓):절에서 불교 의식에 쓰이는 북으로서 홍고(弘鼓)라고도하며

축생(畜生)과 땅위의 모든 중생(衆生)들을 구제한다는 뜻이 담겨있다.

범종(梵鐘):사찰에서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 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을 말하고 경종(鯨鐘),당종(撞鐘)또는 조종(釣鐘)이라고도 하며

종소리를 듣는 순간만이라도 번뇌로부터 벗어나라는 의미가 있다.

 

 

목어(木魚):나무를 깎아 어두(漁頭)는 용(龍)모양인 잉어 모양으로

속을 파낸 불구(佛具)로서 목고(木鼓)또는 목판(木板)이라고도 하며

아침,저녁 예불과 법의식 때 수중(水中)중생(물고기 등)을 구제한다는

뜻으로 두들기며, 사찰내의 스님들을 소집할 때도 사용하는 불구이다. 

 

 

운판(雲板):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불구(佛具)의 하나로서 하늘을 나는

중생(날짐승 등)을 구제하기 위한 사물로 구름 모양의 철판을 말한다.

 

 

범종루를 들어서 서 본 운문사 전경

 

 

 

불교용품과 책을 파는 서점 

 

 

 

원응국사비(圓應國師碑)

고려 중기의 승려 원응국사(1051~1144)의 업적과 행적을 기록한 비.
비석의 받침돌과 머릿돌은 없어졌으며, 세쪽으로 잘려진 비몸만 복원되었다.

비몸은 높이 2.28m, 너비 1.8m. 고려의 명문장가 금강거사 윤언이(1090~1149)가

비문을 짓고 대감국사 묵암 탄연(1069~1158)이 썼다.  원응국사는 고려 숙종 때의 승려로

11세에 입산하여 희함선사(喜含禪師)에게 학문을 배웠다. 송나라에서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배우고 귀국하여, 예종 17년(1122)에 왕사로 책봉되었다.

인종 22년(1144)에 ‘이 몸은 한 조각 구름. 남김없이 흩어지지만 둥구렷한 달 하나 있어

맑은 빛 허공에 넘치리’라는 임종계를 남기고 93세로 입적하였다.

인종은 국사로 책봉하고 원응이라는 시호를 내려 비를 세우게 했다.

 

 

 

 

 

처진소나무

 

 

 

 

 

 

 

석정(石井)

 

 

 

 

대웅보전(大雄寶殿)

대웅보전은 석가모니 부처를 주존불로 모신 법당이며,

비로전은 비로나자불을 주존불로 모신 법당을 말한다.

그리고 각 절마다 중심 법당인 대웅보전은 단 하나 뿐이다.

 

하지만 운문사는 다른 사찰과 달리 대웅보전 현판이 걸린 건물이

두 채 있다. 조선 숙종때 지어져 보물로 지정된 대웅보전과

1994년에 새로 지은 대웅보전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보물로 지정된 대웅보전은 비로나자불을 주존불로 모신 전각으로

원래는 비로전이다. 하지만 만세루 뒤에 있던 진짜 대웅보전 건물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비로전을 대웅보전으로 고쳐 최근까지 사용해온 것이다.

1994년에 들어서야 비로소 원래의 자리에 대웅보전이 새로 지어져

현판을 걸고, 옛 비로전에도 제 이름을 되찾아 주려고 하였다.

하지만 문화재청과 합의를 하지 못해, 결국 운문사는

사찰 형식에 맞지 않게 대웅보전이란 이름의 법당을

두 채나 갖게 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자리에 1994년 새로 지은 대웅보전  

 

 

대웅보전 내 석가모니불

 

 

대웅보전 내 윤장대(輪藏臺)

 

 

 

 

응진전 & 조영당

응진전은 16나한을 모신 곳이고, 조영당은 고승들의 영정을 모셔 놓은 전각이다.   

 

 

 

전향각(香閣)

영빈관으로 사용되는 건물

 

 

 

자비무적(慈悲無敵)

 

 

 

기와로 쌓은 담장

 

 

 

극락교

스님들의 수행공간으로 일반인은 건널 수 없는 곳이다.

 

 

 

오백전(五百殿)

오백나한을 모신 전각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동탑(東塔)

 

 

서탑(西塔)

 

 

 

 

대웅보전(비로전)

원래는 비로나자불을 모신 비로전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대웅보전이 소실되어 이 곳에 대웅보전 현판을 걸고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안에는 비로나자불을 모시고 있다. 

 

 

 

 

대웅보전(비로전) 앞 석등과 사자석

 

 

 

 

 

 

감로수(甘露水)

 

 

 

법륜상(法輪相)

법륜은 부처님의 교법이 수레가 굴러가듯 머물지 않고 항상 전하여지는 것을 의미

 

 

 

 

작압전(鵲鴨殿)

운문사의 전신인 대작갑사의 유래를 알게 하는 건물

 

 

작압전에 모시고 있는 석조 석가여래좌상

 

 

 

작압전에 보관하고 있는 사천왕 석주

 

 

 

 

금당 앞 석등(石燈,보물 제193호) 

운문사 금당 앞에 놓여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바닥돌과 하나로 이루어진

아래받침돌에는 여덟 장의 잎을 새긴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그 위에 놓인 가운데기둥에는 아무런 꾸밈이 없으며, 윗받침돌에는

각 면마다 연꽃이 새겨져 있다. 화사석에는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마련해 두었다. 지붕돌은 경쾌한 모습이며,

꼭대기에는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남아 있다.

각 부분이 잘 균형을 이룬 우아한 모습의 통일신라시대 석등이다.

 

 

 

운문사 동호(銅壺)

이 항아리는 전체가 흑색을 띠고 있으며

무엇에 사용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감로준(甘露樽)이라는 이름이 전하고 있어

불교 용기의 하나로 추측한다. 

고려 문종 21년(1067)에 수리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어,

제작연대는 이보다 앞선 신라 말이나 고려 초로 추정한다.

 

 

 

 

만세루(萬歲樓)

법회나 설법을 하는 장소로 우리나라 사찰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단다.

 

 

 

 

 

 

 

 

 

관음전(觀音殿)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  

 

 

 

명부전(冥府殿)

지장보살을 모신 전각

 

 

 

칠성각(七星閣)

북두칠성으로 상징되는 칠원성군을 모신 전각

 

 

 

 

스님들의 수행도량

 

 

 

'경북대구여행*문화탐방 > 청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 와인터널  (0) 2017.04.23
새마을 선진지(先進地) & 운암정사  (0) 2014.02.28
운곡정사 & 원모재  (0) 2014.02.28
삼족대(三足臺)  (0) 2014.02.28
매전면 경의당 & 처진소나무  (0) 2014.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