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 2월 28일(일)
2.28 대구 고등학생 민주화 운동
2 · 28민주운동은 이승만 자유당 독재정권의 횡포와 부패, 실정이 절정에 다다르며 국민들의 생활과 감정이
“못살겠다 갈아보자”고 할 만큼 빈곤과 불법적 인권유린이 극에 달한 시대 상황에서 일어난 대구의
고등학생들이 자발적이고 조직적으로 일으킨 민주적 저항운동이다. 당시 이승만 자유당 정권은 영구집권을
위한 개헌을 했고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를 맞아 정권의 부패와 부정으로 민심이 이반했음을 알고도
부정선거로 집권을 연장할 것을 기도했다.
이 같은 자유당의 장기 집권을 위한 부정 음모가 진행되면서 정·부통령 선거운동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1960년 2월 28일(일) 대구시내 수성천변에서 야당의 부통령 후보인 장면박사의 선거 연설회가 계획되었다.
당시 국민들 사이엔 말로 표현은 못했지만 자유당 정권의 악정을 갈아치워야 한다는 소리없는 여론이 전국을
메아리쳤고 대통령 선거엔 야당 후보인 조병옥 박사에 초점이 모였으나 불행하게도 조박사가 서거하는 바람에
부통령 후보인 장박사가 모든 여망을 걸머졌다. 이 때문에 일요일인 그날의 수성천변 유세는 대구 시민들은
말할 것도 없고 전국의 이목이 집중돼 자유당 정권의 감시에도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다.
선거의 패배를 예감한 자유당 정권은 이성을 잃고 학생들이 유세장으로 몰릴 것을 우려한 나머지 대구시내
공립 고등학교에 일요 등교를 지시했고, 학교 당국은 온갖 핑계로 일요 등교를 강행했다.
어린 학생들마저 정치적 도구로 희생시키려 했던 것이다. 학교에 따라 갑자기 임시시험을 친다고 했고,
단체 영화관람이나 토끼 사냥을 간다는 핑계로 일요 등교를 종용했다.
그러나 이 같은 자유당 정권의 야만적이고 폭압적인 간계를 간파한 학생들은 불의에 몸을 떨었고
그날 학교에 모인 학생들은 당국의 지시에 따르지 않고 이 같은 자유당 정권의 불법과 부정을 규탄하는 집회로
바꾸어 궐기했고 교사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학교를 뛰쳐나왔다. 당시 인구가 밀집했던 중앙통을 거쳐
경북도청과 대구시청, 자유당 경북도 당사, 경북지사 관사 등을 돌며 자유당 정권의 악행을 규탄했다.
숱한 학생들이 경찰에 연행되어 고통을 받았고 교사들도 모진 책임추궁을 받았다. 독재에 움츠렸던
언론도 마침내 2·28대구학생의거를 보도함으로써 전국의 학생들이 잇따라 궐기와 시위에 나섰다.
당시 아무도 함부로 나서지 못했고, 기성세대들도 말 못했던 공포분위기를 고등학생들이 처음으로
자발적이고 조직적으로 민주적 의사표시를 한 것이었다.
대구시민들도 경찰에 쫓겨 도피하는 학생들을 숨겨주는 등 지지와 성원을 아끼지 않았다.
2·28은 당시 참여주체가 고등학생들이었지만 그 시대의 부모, 형제 가족의 암묵적 동의와 대구시민의
시대정신을 담은 반독재 민주운동의 분출이었다.
2·28대구학생민주운동은 광야를 태우는 한 알의 불씨가 되어 들불처럼 번져갔고, 3·15마산의거, 4·19혁명,
4·26이승만대통령 하야로 이어져 마침내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이 나라 최초의 민권 민주주의 혁명인
4월혁명을 완수했다. 2·28민주운동은 독재와 부정에 저항한 반독재 민주화운동의 대구 시민정신의 표출이었고,
국가의 민주적 정통성을 심는 선구적 역할을 한 자랑스런 대구의 역사인 것이다.
100년 전 대구에서 일어나 일제의 경제침탈에 맞서 전국민에게 독립정신을 고취시킨 국채보상운동의 반외세
자주화 정신과 함께, 대구·경북 시도민, 영남인의 자랑스런 시대정신으로 부활, 승화 시켜야 할 것이다.
(출처: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근대사 & 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년 4·19의거 (0) | 2019.03.23 |
---|---|
60년 3.15 마산의거 (0) | 2019.03.23 |
평양 정상회담(2일차)-9월 평양공동선언 발표 (0) | 2018.09.19 |
평양 남북정성회담 (0) | 2018.09.18 |
북·미정상회담 (0) | 201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