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서원(陶山書院)-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도산서원(陶山書院)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선조 7)에 지어진 서원이다.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면으로 볼 때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된다. 도산서당은 퇴계..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8.05.10
선성 수상길 선성 수상길 선성 수상길은 안동시 와룡면과 예안면 도산면의 총 91km에 이르는 안동 선비순례길의 한구간으로 도산면 서부리 안동호 수면위에 길이 1,011m 폭 2.75m의 수상 데크를 설치한 수상길로 2013년 공사가 시작되어 5년 만에 완공하였다. 도산면 서부리 선성공원에서 이어지는 안동선..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7.11.18
용두산 국망봉 용두산(龍頭山) 국망봉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 ·온혜리·태자리와 녹전면 매정리 경계에 있는 산. 용두산은 해발 661m로 산의 모양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용수산(龍首山) 또는 용수사(龍壽寺)에서 이름을 따서 용수산(龍壽山)이라고도 한다. 산 아래에는 유학의 대..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4.04.25
용두산 용수사(龍壽寺) 용두산 용수사(龍壽寺)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의 말사다. 용수사는 1181년(명종 11) 최선이 건립하였다. 개창기에 따르면 용수사 개창 이전 이미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에 사찰이 있었다고 하는데, 수차례 화재로 옛 터만 남게 되었다. 봉화의 각..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4.04.23
취규정(翠虯亭) 취규정(翠虯亭) 임진왜란시 봉화의병대장을 역임한 용담 임흘선생께서 봉화에 지은 것을 1991년 도산면 온혜리로 이축하였다. 임흘(任屹, 1557 명종 12∼1620 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탁이(卓爾), 호는 용담(龍潭)이다. 1582년(선조 15) 진사가 되고 1592년 임진..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4.04.23
하계정(霞溪亭) 하계정(霞溪亭) 하계정은 조선 후기 하계(霞溪) 이가순(李家淳)과 복재(復齋) 이휘준(李彙濬)이 강학 공간으로 사용한 정자이다. 이가순은 향산 이만도의 조부로 본관은 진성, 자는 학원, 호는 하계이다. 178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813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지평·정언·수찬·응교 등을 ..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3.08.15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도산면 토계리 퇴계종택 뒤편에 자리잡은 수련원은 4천여㎡ 터에 지하1층, 지상2층의 한옥형 콘크리트 구조로 교육동과 숙소동을 설비하여 2011년 4월 20일 개관하였다. 교육동에는 최첨단 강의실을 비롯해 분임토의장, 다목적 체험실, 식당, 편의시설 등이 있으며, 지상 2층 숙소에는 60명..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3.05.07
퇴계종택 & 추월한수정 퇴계종택(退溪宗宅) 조선 중기 문신이며 대학자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종가이다. 원래 있던 집은 없어지고 이 건물은 1926∼1929년 사이에 선생의 13대손 하정공이 옛 가옥의 규모를 따라 새로 지었다. 앞면 6칸·옆면 5칸 규모의 ㅁ자형 집으로 총 34칸으로 이루어졌다. 높은 석축 위..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3.05.07
원대정(遠臺亭) 원대정(遠臺亭) 이 정자는 영조 때 퇴계의 5대손인 이구의 정자이다. 이구(1681~1761년)의 본관은 진성, 자는 대방(大方), 호는 원대 부귀와 영화를 탐하지 않고 겸얀과 청렴으로 일생을 보냈으며 원촌의 진성이씨 입향조이다. 웅부안동(雄府安東)/도산면 201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