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여행 * 문화탐방/충청도☆대전

충주 중원 미륵리사지(中原 彌勒里寺址)

자즐보 2013. 11. 12. 14:10

 

 

중원 미륵리사지(사적 제317호)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소재

 

월악산에 자리잡은 중원 미륵리사지는 석불(보물 제96호),

석탑,석등이 북쪽을  향하여 서있는것이 특이하며, 석굴암을 모방한

석굴사원으로 추측되나 지금은 부처와 석조물만 남아 있다.

 

미륵리
사지가 있는 이곳은 평균해발 378m 이상의 비교적 높은 지대로서

사지를 중심으로 동쪽으로 ‘하늘재’라고 하는 한훤령(寒暄嶺)을 넘어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에 접하고 있다. 이 절터는

1977년·1978년·1982년 세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절터의 규모와 성격이 부분적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석굴은 거대한 돌을 이용하여 쌓아올린 뒤 나무로 만든 목조가구로 조성하였고,
본존불로 모셨던 석불입상이 있고, 사역(寺域) 내에는 화강암제의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제95호) · 석등(石燈) 등이 남아 있다. 

 

 
특히, 미륵리석불입상(보물 제96호)은 모두 4개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높이 10.6m에 이르는 거대한 석불로서

 정면을 위주로 조각되어 마치 돌기둥을 세운 듯하다.

 

이 절에 얽힌 전설로는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금강산으로 입산하러 가던 길에, 누이인 덕주공주는

월악산 덕주사를 창건하여 남향한 암벽에 마애불을 조성하였고,

태자는 이곳에 석굴을 창건하고 불상을 북쪽으로 두어

덕주사를 바라보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다.

 

 

 

 

 

미륵대원터(彌勒大院址)

중원 미륵사지 창건후에 지리적 여건과 역원제도의 정비로

이곳에 역의 기능을 담당하는 원을 세우고 "미륵대원"이라 한 것으로 추정한다.

삼국유사에 미륵대원계립령동령야(彌勒大院鷄立嶺東嶺也)라는 기록도 있다.

이 원터는 계립령(하늘재)길과 연관되어 고려초기에 설치되어 운영되다가

조선시대에 조령(새재)에 관방시설이 완비되면서 이곳 원터는 점차 그 기능을

상실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곳은 사찰과 원터의 기능이 같이 이루어진

고려초기 중요한 유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사 약수터

 

 

 

 

 

당간지주

다른곳의 당간지주에서는 볼수 없는 연꽃문양이 새겨져 있다

 

 

 

미륵세계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법주사의 말사

 

 

 

온달장군 공기돌 또는 '보주탑(寶珠塔)'이라고 한다.

 

 

 

미륵리사지 귀부(龜趺)

귀부는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을 말하는데,

길이 605cm, 높이 180cm으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라고 한다.

 

 

미륵리 5층석탑(보물 제95호) 

 

 

 

미륵리사지 사각석등(四角石燈) 

사각석등은 전형적인 석등 양식에서 다소 벗어난 이채로운 결구 수법을 보이고 있다.

    특히 화사석은 고려시대 건립된 일부 석등에서만 채용된 기법이었다. 이러한 화사석은

고려시대 개경 일대에 건립된 사찰에서 확인되고 있다.

 

 

미륵리 석등(石燈) 

각 부분이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상·중·하로 이루어진 3단의 받침을

마련하여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올린 후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미륵리 석불입상(보물 제96호) 

 

 

 모두 4개의 돌을 이용하여 불상을 만들고 1개의 얇은 돌로 갓을 삼았다.

     둥근 얼굴에 활모양의 눈썹, 긴 살구씨 모양의 눈, 넓적한 코, 두터운 입술 등은

고려 초기 커다란 불상의 지방화된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신체의 단순한 옷주름의 표현이라든가 구슬같은 것을 잡고 있는

손의 묘사 등에서 얼굴과는 대조적으로 간략함을 느낄 수 있다. 

 

 

미륵리사지 석조보살의상

 

 

 

 

 

 

 이 곳의 석불입상과 석등, 석탑은 북쪽을 향하여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매우 특이한 경우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