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죽헌(烏竹軒)
강릉의 선비인 최치운(1390∼1440)이 처음 세우고, 그 아들(응현)은
사위인 이사온에게, 이사온은 다시 사위인 신명화(사임당의 부친)에게,
신명화는 그의 사위 권화에게 물려주면서 이후 후손들이 계속 관리해 오고 있다.
율곡 이이의 이종사촌이었던 권처균은 외할머니인 용인 이씨에게서 아름다운 집을 물려받았다.
집 주변에 대나무가 많이 자라고 있었는데, 그 줄기가 손가락만하고 검은 색을 띠고 있었다.
이 집이 마음에 들었던 권처균은 자신의 호는 물론이고 집 이름도 검은 대나무에서
착안하여 ‘오죽헌’이라고 지었다.
신사임당(1504∼1551)과 율곡 이이(1536∼1584)가 태어난 유서 깊은 집이다.
사임당 신씨는 뛰어난 여류 예술가였고 현모양처의 본보기가 되는 인물이며,
신씨의 아들 율곡 이이는 조선시대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는 훌륭한 학자였다.
오죽헌 출입문 & 매표소
율곡 이 이 선생 동상
신사임당 초충도화단
오죽헌 안내도
자경문(自警門)
율곡선생유적 정화기념비
오죽헌 출입문
보물 제165호 강릉오죽헌 표지석
오죽헌(보물 제165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이다. 건물 정면에서 왼쪽 2칸은 대청마루이고
오른쪽 1칸은 온돌방이며, 뒤쪽 반 칸은 툇마루를 놓았다. 기둥머리에 놓인 공포는
기둥 위로 처마가 새날개처럼 뻗어나온 익공양식으로 당시 건축에서는 드물어
현존하는 익공집 건축물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고있다.
오른쪽 1칸 몽룡실, 사임당 신씨가 아들 율곡을 낳은 방
왼쪽 2칸의 대청마루, 율곡이 6세 때까지 공부하던 곳
오죽헌 뒷면
문성사(文成祠)
율곡 이이선생의 영정을 모셔 놓은 사당
율곡송(栗谷松)
사임당 배롱나무
박정희 (전)대통령 기념식수
오죽헌 율곡매(栗谷梅)
오죽(烏竹)
안채로 출입하는 중문
바깥채
안채
어제각(御製閣)
율곡기념관
입지문(立志門)
사임당 신씨 동상
'전국여행 * 문화탐방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백 구문소 & 황지연못 (0) | 2014.07.20 |
---|---|
정동진(正東津) (0) | 2013.10.31 |
강릉 향토민속관 (0) | 2013.10.25 |
강릉 경포대 (0) | 2013.10.25 |
강릉 해운정 & 심상진 가옥 (0) | 2013.10.22 |